Develop 57

[Android UI - 01] 안드로이드 UI - XML이란? / px, dp, dpi 개념

📱안드로이드 UI 1. 화면은 어떻게 그리는 걸까 XML을 이용한다. XML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확장형 마크업 언어로 데이터 교환에 대한 표준을 정의 한다.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란? 문서의 내용을 조직화하고 구조화시킴. 문서를 읽는 사람 및 문서를 처리하는 응용프로그램이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하는데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 DSL Language(Domain Specific Language)로 안드로이드 UI를 그리기 위해 특화된 언어이다. 2. 핸드폰마다 화면 크기가 다 다른데 화면을 어떻게 그릴까? px(픽셀), dpi, dp px: 화면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 px 단위는 전체 화면 크기와 상관없이 나타내는 절대적 단위이므로 안드로이드에..

[Android] 안드로이드 Kotiln의 NullSafety

1. NullSafety란? 👉 Null에 대해 안전함을 보장해주는 코틀린의 특징이다. ✔️ Null vs 0 - 0: 휴지를 다 쓰고 휴지심만 남은 상태 - Null: 휴지심도 없는 상태, 존재하지 않는 상태, 모르는 상태 ✔️ Null이 안전하지 않은 이유 null인 값으로 연산을 하거나, null에 리스너 객체로 접근하려고 할 경우 에러(NullPointExceptionError)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코틀린이 NullSafety 하기 위해 사용되는 문법 1) ? - 사용하려고 하는 변수나 객체가 null인지 아닌지 체크해주는 문법 - null이 아니라면 이하 구문 실행 // ? 앞에 있는 변수가 null이 아니라면 setOnClickListener를 실행하겠다. button?.setO..

[Android] 안드로이드 태스크(Task), launchMode, 인텐트 플래그(IntentFlag)

1. 안드로이드 Task란? 👉 Task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되는 액티비티를 보관하고 관리하며 Stack 형태의 연속된 Activity로 이루어진다. - 선입후출(FILO)의 형태로 나중에 쌓인 액티비티일수록 가장 먼저 사용된다(햄버거) -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 간의 이동에도 Task를 이용해 사용자 경험(UX)를 유지시켜 준다 - 최초적재 액티비티는 Root Activity라고 하며 어플리케이션 런처로부터 시작된다 - 마지막으로 적재되는 액티비티는 Top Activity라고 하며 현재 화면에 활성화되어 있는 액티비티를 말한다 - Task 내에는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액티비티들이 포함될 수 있어 어플리케이션에 경계없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인 것처럼 보이게 해준다 - Task의 Stack내에 존재하는..

[Android] 안드로이드 Activity 액티비티 클래스와 Intent 인텐트

1. Activity란? 👉 액티비티(activity)는 사용자에게 UI가 있는 화면을 제공하는 앱 컴포넌트이다. 액티비티는 안드로이드 4대 컴포넌트 중 하나로, 앱의 가장 기본이 되는 구성 요소이다. 보통 앱은 하나 이상의 액티비티가 서로 연결된 형태로 구성된다. ✔️ 안드로이드의 4대 컴포넌트 1. 액티비티: 화면 관리자 2. 서비스: 백그라운드 작업자 3. 콘텐트 프로바이더: 데이터 제공자 4. 브로드캐스트 리시버: 방송수신자 2. Activity의 수명주기(Life Cycle) developers 사이트 메소드 설명 다음 메소드 onCreate() 액티비티가 생성될 때 단 한 번만 호출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초기화에 사용됨. onStart() onRestart() 액티비티가 멈췄다가 다시 시작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