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 57

앱 개발의 시작 - 개발자의 의사소통/다양한 개발 직군들

0. 개발자와 의사소통은 왜 어려울까? 개발자와의 의사소통이 중요한 이유 모두의 시간을 아끼는 방법이기 때문 면접 포인트!!! 개인의 효율보다는 팀의 효율이 중요 -> 이때 의사소통이 매우 중요 무엇이 의사소통을 어렵게 만들까? 어려운 전문 용어 관점의 차이(기획자vs개발자) 특히 개발자와 의사소통하기 어렵다고 느낌 1. 개발자, 도대체 뭐하는 직업일까? 기획자 세상에 이런 제품이 있으면 좋겠다! 우리 제품에 이런 기능이 있으면 좋겠다! 디자이너 제품 또는 기능을 눈에 보이게 만들어보자! 개발자 제품 또는 기능을 실제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들자! 2. 다양한 개발 직군들 서버 개발자(백 엔드) 사용자 간의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개발 정보를 가상 클라우드에 저장하기 위해서 개발 클라이언트 개발자(프론트 엔드)..

리액트와 리액트 네이티브/ 안드로이드에서 검색 인터페이스 만들기

리액트와 리액트 네이티브 차이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omnmala&logNo=221593299257 안드로이드 앱 리액트로 3분만에 개발하기(조코딩) https://jjisso.tistory.com/634 리액트 네이티브로 시작하는 앱 개발 https://academy.realm.io/kr/posts/react-native/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검색 인터페이스 만들기 https://developer.android.com/guide/topics/search/search-dialog?hl=ko 클론코딩으로 제대로 공부하자! https://ghcho.tistory.com/5

Part9. HTML의 전역 속성/특수기호

강의자료: 한 눈에 보는 HTML 요소 총정리 https://heropy.blog/2019/05/26/html-elements/ 강의영상: 패스트캠퍼스 프론트엔드 개발 올인원 패키지 with React Online https://fastcampus.co.kr/ 1. HTML의 전역 속성 - 모든 HTML 요소에서 공통적으로 사용 가능한 속성 ▪ class - 공백으로 구분된 요소의 별칭을 지정 - CSS 혹은 JavaScript의 요소 선택기(CSS 선택자나 GetElementsByClassName, QuerySelectorAll 같은)를 통해서 요소를 선택하거나 접근 - 별명을 설정 - class는 중복이 가능함 ▪ id - 문서에서 고유한 식별자(idenifier, ID)를 정의 - CSS 혹은 Ja..

Develop/HTML & CSS 2021.07.16

Part8. HTML 요소 - 표 콘텐츠 & 양식

강의자료: 한 눈에 보는 HTML 요소 총정리 https://heropy.blog/2019/05/26/html-elements/ 강의영상: 패스트캠퍼스 프론트엔드 개발 올인원 패키지 with React Online https://fastcampus.co.kr/ 1. 표 콘텐츠 ▪ , , , - 데이터 표()의 행(줄 / )과 열(칸, 셀(Cell) / , )을 생성 - Table Row, Table Header, Table Data ▪ - ‘머리글 칸’을 지정 속성 의미 값 기본값 abbr 열에 대한 간단한 설명 headers 관련된(종속된) 하나 이상의 다른 머리글 칸 id 속성 값 colspan 병합하려는 열의 수 1 rowspan 병합하려는 행의 수 1 scope 자신이 누구의 ‘머리글 칸’인지 명..

Develop/HTML & CSS 2021.07.16

Part7. HTML 요소 - 멀티미디어 & 내장콘텐츠 & 스크립트

강의자료: 한 눈에 보는 HTML 요소 총정리 https://heropy.blog/2019/05/26/html-elements/ 강의영상: 패스트캠퍼스 프론트엔드 개발 올인원 패키지 with React Online https://fastcampus.co.kr/ 1. 멀티미디어 ▪ - 이미지를 삽입 - img 요소의 srcset과 sizes 속성 - 이미지를 사이즈별로 2장 이상 사용할 떄 srcset 속성을 이용 - srcset에서 이미지의 크기로 px이 아닌 w(가로 너비의 원본 크기를 설정) 단위 혹은 x 단위를 입력해야 하며, 작은 크기 이미지부터 순서대로 입력 - x 단위보다는 w 단위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 - width ~> 일반 출력, sizes ~> 최적화 출력 📌width는 이미지의 ‘출력..

Develop/HTML & CSS 2021.07.16

Part6. HTML 요소 - 인라인 텍스트 & 수정

나중에 내가 다시 보려고 정리하는 패스트캠퍼스 리액트 강의 중 HTML & CSS 강의자료: 한 눈에 보는 HTML 요소 총정리 강의영상: 패스트캠퍼스 프론트엔드 개발 올인원 패키지 with React Online https://fastcampus.co.kr/ 1. 인라인 텍스트 태그 ◽️ - Anchor, 외부로 내보내기 - 다른 페이지, 같은 페이지 위치(#, 해시 태그), 파일,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등 다른 URL로 연결할 수 있는 하이퍼링크를 설정 - 같은 페이지 내에서 위치를 이동하려면 href="#(id값)"을 추가 속성 의미 값 href(생략 가능하긴 함) 링크 URL URL rel 현재 문서와 링크 URL의 관계 license, prev, next… target 링크 URL의 표시(브라..

Develop/HTML & CSS 2021.07.10

Part5. HTML <body> 요소 - 콘텐츠 구분 & 문자 콘텐츠

나중에 내가 다시 보려고 정리하는 패스트캠퍼스 리액트 강의 중 HTML & CSS 강의자료: 한 눈에 보는 HTML 요소 총정리 강의영상: 패스트캠퍼스 프론트엔드 개발 올인원 패키지 with React Online https://fastcampus.co.kr/ 1. BODY 태그/ 콘텐츠 구분 ◽️ 메뉴1 메뉴2 메뉴3 Section Article1 Contents... Article2 Contents... Article3 Contents... Aside koomijin@gmail.com 010-1234-5678 header{ background: turquoise; margin: 10px; padding: 10px; } header nav { } header nav ul{ display: flex; }..

Develop/HTML & CSS 2021.07.10

Part4. HTML 요소 - 주요범위 & 메타데이터

나중에 내가 다시 보려고 정리하는 패스트캠퍼스 리액트 강의 중 HTML & CSS 강의자료: 한 눈에 보는 HTML 요소 총정리 강의영상: 패스트캠퍼스 프론트엔드 개발 올인원 패키지 with React Online https://fastcampus.co.kr/ 1. 블록요소와 인라인 요소 ◾️ 블록 요소 - DIV, H1, P 태그 - 사용 가능한 최대 가로 너비를 사용한다. - 크기를 지정할 수 있다. - 기본설정: width: 100%; height:0; 에서 시작 - 수직으로 쌓임 - margin, padding 위, 아래, 좌, 우 사용 가능 - 레이아웃을 위한 용도로 사용 ◾️ 인라인 요소 - SPAN, IMG 태그 - 필요한 만큼의 가로 너비만 사용한다. - 크기를 지정할 수 없다. - 기본설..

Develop/HTML & CSS 2021.07.10

Part3. HTML & CSS 첫걸음/CSS

나중에 내가 다시 보려고 정리하는 패스트캠퍼스 리액트 강의 중 HTML & CSS 강의자료: https://heropy.blog/2019/04/24/html-css-starter/ 강의영상: 패스트캠퍼스 프론트엔드 개발 올인원 패키지 with React Online https://fastcampus.co.kr/ 1. CSS 문법 ◾️ 선택자 - HTML에 스타일(CSS)을 적용하기 위해 HTML의 특정한 요소를 선택하는 사인(sign) - 선택자 div. 태그를 선택하겠다! div { font-size: 20px; color: red; } /* 다음과 같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선택자 { 속성: 값; 속성: 값; } HTML 제목.. 본문.. CSS h1 { color: red; } p { colo..

Develop/HTML & CSS 2021.07.04
반응형